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의 제도가 바뀌면서 연 최대 9.54%효과를 누릴 수 있는 국가 지원형 적금입니다. 오늘의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가 어떤 상품인지, 신청 기간과 신청 방법 등까지 핵심만 정리해보겠습니다.
청년도약계좌가 주목받는 이유
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(60개월) 동안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하면서, 정부기여금(월 최대 약 6%)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
이는 청년들이 중장기적인 목돈 형성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마련된 상품으로, 낮은 소득자일수록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더욱 매력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가입 조건
청년 도약 계좌는 가입일 기준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에게 제공되며, 군복무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됩니다. 자격 요건을 충족하려면 신청자는 전년도 총 급여가 75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이 6300만 원 이하이며, 가구 중간 소득이 250% 이하(단독 가구의 경우 6685만 원 이하)이어야 합니다.
또한, 지난 3개 과세 연도 중 어느 한 해라도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었던 경우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조건 | 항목 기준 |
나이 | 만 19세 ~ 만 34세 (병역기간 제외) |
개인 소득 | 총급여 ≤ 7,500만 원 또는 종합소득 과세표준 ≤ 6,300만 원 |
가구 소득 | 중위소득 250% 이하 (1인 기준 약 6,685만 원) |
금융 소득 | 과세 최근 3개 과세기간 중 미대상자 |
신청 기간
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초 접수기간이 정해져 있어요. 그래서 그 기간 안에마 접수가 가능하고 신청기간이 지나면 다음 달 초에 다시 신청할 수 있어요. 8월 달은 1일부터 14일까지 신청을 받습니다.
신청 후에는 소득심사를 거쳐 9월 1일부터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.
신청 방법
청년도약계좌는 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농협 등 주요 은행 앱에서 비대면 신청이 가능합니다. 신청은 앱에서 ‘청년도약계좌’ 검색 후 본인 확인과 가입 자격 조회(소득·가구 동의) 등 약 2주간의 소득 심사를 거쳐 계좌가 개설됩니다. 매월 1,000원~70만 원 자유적립식으로 납입합니다.
*따로 신청 사이트가 있는 게 아니고 각 은행에서 상품가입을 하면 절차가 진행됩니다.
정부기여금
정부기여금은 내 연소득(총급여)에 따라 달라집니다. 납입금 규모에 따라 모을 수 있는 금액과 이자 혜택도 달라집니다. 아래의 표에 연봉 3,000만원 기준 시뮬레이션을 만들어보았습니다. 표를 보며 약 얼마정도를 넣어야 최종수령액이 얼마가 되는지 확인 해보시길 바랍니다.
목표금액 | 월 납입금 | 총납입원금 | 총 이자 | 정부기여금+이자 | 최종수령액 |
1천만원 | 15만원 | 900만원 | 약 131만원 | 약 46만원 | 약 1,077만원 |
3천만원 | 42만원 | 2,520만원 | 약 368만원 | 약 129만원 | 약 3,017만원 |
5천만원 | 70만원 | 4,200만원 | 약 614만원 | 약 194만원 | 약 5,713만원 |
정기적으로 신청기간과 본인의 소득조건, 혜택 변동사항을 꼼꼼히 확인하면서 5년 뒤 천만원부터 5천만원을 목표로 청년도약계좌를 만들어보세요.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 매우 감사합니다:)